기후환경에너지위원회는 오픈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일상에 가장 가까운 환경문제를 폐기물과 자원순환으로 꼽는 분들이 많습니다. 미세먼지보다도 어쩌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배달음식 먹으면서도 찝찝하고, 라벨떼고 분리배출하면서도 재활용이 제대로 될지 의심가고, 제로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 살고 싶어도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고. 누구나 이런 궁금증과 의구심, 죄책감 이런 것들이 얽혀있지 않나 싶습니다.
전문가들이 나와서 분리배출 시스템을 설명하거나, 에너지 회수를 설명하는 일보다 이런 일상 속에서 해결되지 않은 질문을 풀어가는 시간을 만들고자 합니다. 왜 안되는지, 매우 복잡한 과정입니다만, 문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정의내리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려 합니다.
일상 속에서 생기는 궁금증을 댓글로 올려주시면, 관련된 이해관계자와 전문가들을 모시고 하나하나 풀어가는 시간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어떤 질문이든 지식 정도에 상관없이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단 기한은 있습니다. 6월 말까지 올려주세요. 일주일입니다!
1. 노라벨 생수 및 음료 생산자 인센티브 도입 필요해 보입니다. 좋은 방법 없을까요?
2. 투명패트병 말고는 플라스틱이 재활용이 안된다고 하던데... 맞나요? 그럼 그거 다 어디로 가서 어떻게 처리되나요?
3. 유리병도 은근히 많습니다. 맥주병 소주병은 재활용 될텐데, 잼병, 와인병 이런 것들은 어떻게 되나요? 파쇄 매립되면 환경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은거 일까요?
4. 제일 걱정되는 것이 폐가전, 배터리, 형광등 등입니다. 제가 태양광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중에 하나도 이게 다 중금속 폐가전 덩어리이기 때문인데... 얘네들은 지금 얼마나 분리되고 있고, 재활용 되고 있으며,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나요?
5. 플라스틱, 종이, 비닐, 캔류, 병류 이렇게 분리수거 하고 있는데, 비닐도 양이 엄청납니다. 비닐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6. 깨끗이 안씻고 분리수거된 쓰레기들에 묻은 이물은 최종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혹은 분류가 틀려서 잘못 들어간 쓰레기는 어떻게 되나요?
7. 잘 모르겠고 애매해서 그냥 종량제 다 넣으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되나요?
8. 종량제 쓰레기의 최후는? 음식물 쓰레기의 최후는? 소각인가요? 매립인가요?
9. 일회용 종이컵에 더 많은 죄책감을 가져야 할까요? 사놓고 쓰레기가 되는 텀블러에 더 많은 죄책감을 가져야 할까요? ㅠ.ㅠ 이건 참 고민됩니다...
어느게 맞나요?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은 소비자, 또 제조업에서의 문제만 이슈화시키는 것 같습니다. 환경을 위해서 생산을 줄이고, 생산과정에서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조업 만이 아니라, 목축, 농업 같은 분야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견해이신지요?
발생 가능한 예외상황들이 있겠지만 큰 골자로만 일단 생각해보았습니다.
소비가 계속있는데 생산부터줄여라..이건 이상적인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플라스틱빨대가 바다만 오염시키는게 아니고, 우선 플라스틱빨대 소비자체가 엄청나고 대부분 소비자들은 이를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립니다.
해양오염적 부분만 보는게아니라 플라스틱 재활용도 하지못한채 일반쓰레기로 전부 매립 또는 소각되버리죠 그리고 계속해서 업체들은 소비가있으니 플라스틱빨대를 생산하고.
플라스틱은 계속 생산소비되고.. 해양오염은 약간 상징적인것이고 결국 이또한 플라스틱 소비의문제입니다
시민의식이 높다면 올바른 회수를 기대해보겠으나 현재 시행중인 재활용품 분리수거도 재활용율이 너무나 절망적인 수준이라 큰 기대가 되지 않기에 저런 방법이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공다니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원글에도 언급했듯이 플라스틱이 가격경쟁력을 잃게 되면 다소 가격이 있어 그간 사용되지 못한 친환경 대체용품이 자연스럽게 시장경쟁력을 가지게 될거라 생각했습니다. 세금으로 지원하지 않더라도 돈만 된다면 시키지 않아도, 말려도 나오게 되어 있는게 시장의 속성이니까요.
1. 없다면 이를 개발하는것과 사람들이 사용을 줄이는것 어떤것이 전반적인 사회 효용을 올리는 것인지?
2. 있다면 ? 사용되지 않는 못하는 이유? 현대 과학으로 많은 부분이 해결이 가능하다고 배워 왔는데 일종의 사회 간접자본 문제와 같이 누구도 나서지 않아 해결 되지 않는 것인지? 한번 생각해 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공계를 모르는 문과생의 탁상공론이긴 합니다